ABA교육 발달장애인 행동 동기 중재전략 MO(Motivating Opertaion)
발달장애인 교육에 있어 어떠한 행동을 중재하고 이끌어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동기(Motivation)이다. 동기가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고 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ABA에서는 행동중재를 위해 이러한 동기를 조작하여 행동을 중재하고 교육을 하게 된다. 발달장애인 동기 중재전략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MO(Motivating Opertaion)의 개념과 역할
● MO(동기조작, Motivating Opertaion)란 무엇인가?
MO는 교육, 중재를 하고자하는 특정행동에 대해 특정행동을 하게 하거나, 하지 않도록 하는 조작 또는 행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만들거나 없애는 조작을 말한다.
● MO(동기조작, Motivating Opertaion)의 역할
MO(동기조작)은 발달장애인의 결핍, 욕구, 포화를 이용하여 특정행동을 발생시키는 또는 없애는 동기를 발생시키거나 없애는 것이다. 결핍과 포화, 욕구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어떤 자극, 사물, 사건이 강화제로서의 효과 증가와 감소를 일으키는 가치변화 효과와 어떤 자극, 사물, 사건에 의해 강화된 행동의 증가와 감소로 나타나는 행동변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2. MO(동기조작, Motivating Opertaion)을 활용한 행동 중재 전략
발달장애인의 특정행동을 중재하기 위해 동기 조작을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다. 하지만 그 원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핍과 포화, 욕구를 어떻게 조절하여 특정행동을 발생, 유발, 소거, 폐지를 한다. 이러한 행동 중재전략에는 선행행동 중재, 대체행동 중재, 후속결과 중재가 있다.
● 선행행동 중재
선행행동 중재에는 동기조작(MO), 폐지조작(AO), 비유관강화(NCR), 고확률 연속강화(High-P), 기능적의사소통훈련(FCT) 4종류가 있다.
- 비유관 강화(NCR)
문제행동으로만 얻을 수 있던 특정 강화 자극을 문제행동과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자주 얻을 수 있게하여 문제행동의 동기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전략이다. 비유관 강화를 적용하기 위해서 시간계획에 따라 반응 간시간(IRT)을 알아야 한다. 또한 문제행동을 통해 얻고자 하는 특정 강화 자극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특정 강화 자극이 관심인지, 물질적 보상인지, 상황을 벗어나고 싶은 회피 또는 도피 기능과 같은 부적강화인지에 대해 알고 전략을 적용해야 한다. 이것들을 알게 되었다면, 선호도 높은 강화자극을 다수 준비하고 문제행동으로 얻을 수 있는 강화보다 양과 질을 풍부하게 제공하여 문제행동을 감소, 제거시킬 수 있다.
비유관 강화는 문제행동으로 강화를 못받지만, 다른 방법으로 강화를 받아 동기가 충족되고 소거 폭발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대로 굳이 행동을 안 해도 강화가 제공됨으로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되는 동기가 감소하게 되고 행동중재를 목표로 하는 특정 행동이 아닌 계획하지 않은 행동이 강화될 수 있다.
- 고확률 연속강화(High-P)
고확률 연속강화(High-P)는 대상자의 능력으로 쉽게 수행이 가능하며, 잘 반응하는 과제를 통해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제공할 때는 대상자가 수행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과제를 제시를 해야 한다. 또한 쉬운 과제부터 어려운 과제 순서로 제시해야 한다. 하지만, 문제행동이 발생한 직후에는 고확률 요구 과제가 아닌 다른 과제를 제시하여 과제를 수행한 뒤 고확률 요구과제로 넘어가야 한다. 그 이유는 문제 행동 발생 직후 High-P를 연속으로 사용한 경우 문제행동이 강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쉬운 과제를 수행하여 원하는 특정 강화 자극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과제를 수행함으로서 강화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교육하는 방법이다.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도전행동, 문제행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의사소통이 안되기 때문에 욕구, 필요, 관심 등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대체행동을 통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도전행동과 문제행동을 감소, 제거시키는 방법이다.
ASD 자폐 아동의 의사소통 특징과 의사소통 중재목적
ASD 자폐아동의 의사소통 방식의 특징과 의사소통 중재목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일반적으로 의사소통이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흔히 생각하는 것은 대롸를 주고 받는 것이다. 이 글을 쓰고
hypokinesic-disease.tistory.com